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반도체 장비 시장은 인공지능(AI) 관련 수요를 타고 내년까지 지속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5일 반도체 공급망 협회인 SEMI가 추적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제조 장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4% 증가한 1255억 달러를 기록,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다.
SEMI는 내년에도 반도체 제조 장비 시장 성장이 지속될 것이며, 규모는 138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짓 마노차 SEMI 최고경영자(CEO)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에서도 AI 수요에 따른 반도체 혁신이 첨단 생산설비와 증설 투자를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043억 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전공정 장비(WFE) 부문은 올해 6.2% 증가한 1108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엔 10.2% 성장한 122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부터 회복세에 접어든 후공정 장비 시장은 올해도 강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반도체 테스트 장비는 올해 23.2% 증가한 93억 달러, 조립 및 패키징 장비 역시 7.7% 증가한 54억 달러로 예상된다.
올해 파운드리 및 로직 분야의 반도체 전공정 장비(WFE) 시장은 첨단 노드의 견조한 수요에 힘입어 전년 대비 6.7% 증가한 648억 달러, 내년에는 6.6% 증가한 69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SEMI는 메모리 분야 설비 투자가 올해 반등한 뒤 내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낸드플래시 장비 시장은 42.5% 급증한 137억 달러, 내년에는 9.7% 증가한 1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AI 확산에 따른 고대역폭메모리(HBM) 관련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급증하고 있는 D램 장비 시장은 올해와 내년에도 각각 6.4%, 12.1%로 안정적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 대만, 한국은 내년까지 반도체 장비 투자 규모 상위 3개 국가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전 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장비 투자 규모를 유지하지만 지난해 495억 달러보다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장비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단 각국의 통상 정책에 따른 리스크가 향후 지역별 성장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SEMI는 예측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 https://cafe.naver.com/1djr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