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김상식 감독은 5일 국내 취재진과의 화상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아세안축구연맹(AFF) 23세 이하(U-23) 챔피언십 3연패를 이뤄 너무 기쁘다. 선수들이 무더운 날씨에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준 결과”라며 “베트남 축구 팬들이 기대와 사랑을 주셔서 3연패에 성공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우승은 해도 해도 기분이 좋다. 베트남 국민과 협회의 관심을 더 커졌지만, 이걸 이겨내고 발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베트남은 지난달 29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치른 인도네시아와의 2025 AFF U-23 챔피언십 결승에서 1-0 승리해 우승했다.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3회 연속 이 대회 정상 등극이다.
2005년 시작한 이 대회에서 베트남은 최다 우승국이다. 두 번 트로피를 든 나라도 베트남뿐이다.
베트남은 올해 1월 동남아시아 최대 축구 축제인 2024 미쓰비시일렉트릭컵에서 통산 세 번째 우승한 데 이어 AFF U-23 챔피언십까지 제패하며 동남아 축구 최강자로 우뚝 섰다.
지난해 베트남 지휘봉을 잡은 김상식 감독은 A대표팀이 나선 미쓰비시컵과 U-23 챔피언십을 동반 우승한 최초의 사령탑으로 이름을 남겼다.
베트남 축구 영웅인 박항서 전 감독도 이루지 못한 일이다.
김 감독은 “박항서 감독은 베트남 역사에 남는 영웅이다. 그걸 따라갈 생각도 안 한다. 오히려 업적에 누가 되면 안 된다는 생각뿐”이라며 “우승 후에 (박항서 감독님이) 축하 전화를 주셨고, 식사도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와의 AFF U-23 챔피언십 결승에서 김 감독은 터치라인에서 판정에 불만을 나타내다가 경고하러 온 주심에게 허리 숙여 사과해 화제가 됐다.
김 감독은 “큰 의미는 없었다. 인도네시아 인사법을 한 것인데, 어쩌다 보니 세 번을 하게 됐다”며 “심판과도 문제가 없었다. 다른 의미를 둔 인사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사령탑 부임 후 김 감독은 과거 박항서 감독처럼 선수들과의 스킨십을 통해 신뢰를 줬다고 말했다.
그는 “베트남에선 ‘띵깜(정감)’이라고 부르는 정 문화가 중요한데, 이전에 박 감독님처럼 치료실에 가서 농담도 하고, 인삼과 화장품 등 물질 공세도 많이 했다”며 “친근감을 주고 다가가서 선수들과 교감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수들이 물 먹는 시간, 잠자는 시간 등 모든 걸 계산하고 철저하게 준비했다. 선수들이 최고의 상태로 대회에 임하도록 한 게 잘 맞아떨어진 것 같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A대표팀과 U-23 대표팀을 모두 지휘하는 김 감독은 “A대표팀의 경우 선수들에게 동기부여를 줘 팀에 헌신하고 뛰도록 만드는 게 중요한데, 그런 동기를 부여하는 데 많은 노력을 했다”고 했다.
또 “U-23 대표팀엔 경험은 부족하지만 재능있는 선수들이 많다. 그것이 운동장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내도록 고민했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진출 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으로는 올해 초 동남아 월드컵으로 불리는 미쓰비시컵 우승을 꼽았다.
김 감독은 “아무래도 미쓰비시컵 우승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제 현대컵으로 명칭이 바뀌는데, 한국 기업 스폰서를 받는 대회에서 또 우승하고 싶다”고 말했다.
신태용 감독이 지난 1월 인도네시아 사령탑에서 물러난 것에는 “신 감독님이 계셨다면 이번 대회에서 인도네시아를 상대가 어려웠을 것이다. 빨리 가셔서 다행”이라고 농담했다.
신 감독이 K리그1 울산 HD 사령탑으로 내정됐다는 소식에는 “한국에서 성공하길 바란다”고 응원했다.
동남아 축구 더블을 달성한 김 감독의 다음 목표는 올해 말 예정된 동남아 최대 종합대회인 동남아시안(SEA)게임 축구 우승이다.
나아가 장기적으로는 2030년 월드컵 진출이란 큰 그림도 그렸다.
김 감독은 “단기간에 두 번의 우승으로 베트남 축구에 대한 기대치가 올라갔다”면서도 “베트남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이젠 월드컵 진출을 목표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귀화 정책을 펴는 상황이다. 베트남도 노력하면 충분히 월드컵에 출전할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담감이 커졌지만, 감독으로서 이겨내겠다”며 관심과 응원을 당부했다.
한편 친정팀인 K리그1 전북 현대에 대한 애정도 드러났다.
전북에서 선수와 코치를 지내다 2021년 지휘봉을 잡았던 김 감독은 2023년 5월 성적 부진으로 물러났다.
그는 “지금 울산도 우승 후유증이 크고, 전북도 그런 과정을 겪는 과정에서 나와 외국인(단 페트레스쿠) 감독, 김두현 대행이 팀을 맡았다”며 “당시 박진섭, 김진규 등이 이제 주축이 됐고 전진우, 이승우도 좋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며 팀을 만들 충분한 시간을 부여받지 못한 것에 아쉬워했다.
그러면서 “거스 포옛 감독의 전술과 특징을 선수들이 잘 따라줘서 우승권에 있다”며 “포옛 감독을 존경하고, 한국 축구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nan90@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 https://cafe.naver.com/1djr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