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서울=뉴시스]이승주 기자 =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로 인해 약값이 인상되고 결국 소비자에 부담이 전가될 것으로 관측된다.
31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유럽산 의약품에 15%의 관세를 부과했다. 이로 인해 의약 산업 비용 부담이 증가했다.
한국바이오협회와 외신 등에 따르면 유럽과 미국의 무역 협상에서 이뤄진 의약품 15%의 관세는 글로벌 의약 산업에 최대 190억 달러(약 26조2500억원)의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소비자의 부담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기업이 관세로 인한 수익률 문제로 약값을 인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의약품은 오랫동안 관세에서 면제돼 왔다. 의약품은 유럽에서 미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되는 품목으로, 유럽의 대미 수출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 협상된 15% 관세율에 일부 유럽산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은 면제될 수 있다.
디데릭 스타디그 ING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부과될 관세율에 대한 완화 전략이 없다면 의약업계는 130억 달러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그중 일부는 소비자가 부담하는 비용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코트니 브린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는 업계에 부담되는 추가 비용을 190억 달러로 추산했다. 기업들이 의약품을 비축하거나, 위탁 연구기관과의 신규 계약 등 조치를 통해 일부 비용을 흡수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관세가 붙으면 제약사 입장에서는 기존에 없었던 비용이 추가되는 셈이라 낮아진 수익률을 메꾸기 위해 약가를 올릴 수 있다”며 “소비하는 것은 환자들의 몫이라 부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정부가 약가를 통제하는 공보험과 민간에서 정하는 사보험이 공존하는데, 약가 인상에 따라 본인 부담이 높아지는 사보험 가입자는 약값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 보험사와 제약사 사이에서 의약품 가격, 급여 등을 협상하는 중간 조직인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가 보험료를 올릴 여지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관세 부가로 인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매출이 줄어들면서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으며, 의약품 공급망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오기환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장(전무)은 “빅파마들은 관세로 인해 매출이 줄어드는 전망치를 내놓고 있는데, 당연히 매출 감소에 따라 R&D 투자 부분에 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의약품으로 경쟁한다면 관세로 인해 해외 기업들보다 미국 기업이 경쟁 우위에 서게 된다”며 “관세 부담으로 사업을 접어야 하는 상황도 예견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해당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의약품 공급을 축소할 경우, 환자들의 의약품 접근성이 떨어지고 필수 의약품 확보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결국 공급망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업들은 잇달아 관세율에 대한 완화 조치를 발표하고 있다. 사노피는 뉴저지에 있는 생산 시설을 써모 피셔에 매각해 미국 내 생산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로슈의 토마스 쉬네커 CEO는 관세로 인한 즉각적인 공급의 차질을 피하기 위해 미국 내 재고를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최대 바이오 기업 셀트리온도 최근 관세 리스크 완전 해소를 위해 미국에 생산거점을 확보한다고 밝혔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지난 29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관세 부과 시 당연히 현재의 의약품 가격이 높아질 것”이라며 “다만 조기에 관세 리스크 헷지를 완성한 회사에는 기회가 올 거라고 본다”고 전했다.
셀트리온은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cGMP(우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 생산 시설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eyjude@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 인터넷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