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서울=뉴시스]이연희 기자 = 지난 5년간 사업 승인을 받은 후 착공하지 못한 공공임대주택이 8만5000여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임대주택 승인 후 미착공 현황’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 사업 승인 후 착공에 이르지 못한 공공임대주택 물량은 8만5868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3533가구(4.1%) ▲2021년 7560가구(8.8%) ▲2022년 3940가구(4.6%) ▲2023년 2만3528가구(27.4%) ▲2024년 4만5903가구(53.5%)▲2025년 1~6월 1384가구(1.6%) 등이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통합공공임대가 5만5422가구(65%)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뉴:홈 선택형 2만1139가구(25%) ▲행복주택 7912가구(9%) ▲영구임대 852가구(1%) ▲국민임대 543가구(0.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착공하지 못한 물량 절반 이상이 집중된 2024년에는 2만9895가구가 통합공공임대, 1만6008가구가 뉴:홈 선택형이었다.
미착공 유형으로는 지구계획 변경, 지자체의 사업추진 취소 요청 등이 다수를 차지했다. 착공 지연 원인 역시 LH가 지구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택 사업승인을 동시 추진했다가 이후 토지보상, 문화재 조사·발굴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면서 계획이 뒤바뀐다는 분석이 나온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