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물가 두 달 연속 2%대…기록적 폭염에 먹거리 가격 고공행진(종합2보)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박광온 기자 =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두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보였다. 6월에 비해 상승률이 소폭 하락했지만 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외식 등 먹거리 가격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52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월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로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뒤 5월에는 1.9%로 떨어졌다가 6월(2.2%)과 7월(2.1%)에는 다시 2%대로 올라섰다.

농축수산물(2.1%)과 전기·가스·수도(2.7%), 서비스(2.3%)는 2%가 넘는 상승률을 나타냈다. 공업제품(1.6%)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세를 보였다.

먹거리 가격이 특히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농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0.1% 하락했지만 축산물(3.5%)과 수산물(7.3%)은 상승세를 지속했다.

가공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4.1%, 외식은 3.2% 각각 올랐다.

쌀(7.6%), 고등어(12.6%), 달걀(7.5%), 마늘(18.7%), 빵(6.4%), 커피(15.9%), 햄및베이컨(7.1%), 생선회외식(6.3%), 커피외식(4.1%) 등의 상승폭이 컸다.

반면 지난해 과일 대란을 일으켰던 배(-37.3%)와 사과(-11.0%)가 크게 하락했고, 당근(-41.3%), 파(-10.6%), 상추(-12.3%), 배추(-4.9%) 등은 전년 동월 대비 내림세를 보였다.

서비스 물가 중 공공서비스 상승률은 1.4%에 그쳤지만 개인서비스는 3.1% 올랐다. 보험서비스료(16.3%)와 공동주택관리비(4.5%)의 상승폭이 컸다.

다만 석유류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1.0%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물가 상승세를 억제했다. 휘발유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1% 하락했다.

7월에는 기록적인 폭염의 영향으로 그동안 안정세를 보였던 농산물 가격도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6월(-1.8%)에 비해 7월(-0.1%)에 하락폭이 축소됐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폭염 일수는 작년 7월 4.3일이었는데 올해 7월은 14.5일이었다. 더위에 취약한 시금치가 13.6% 올랐고 열무는 10.1%, 깻잎은 9.5% 상승했다”고 전했다.

7월 21일 지급이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축산물과 외식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지만 7월 물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진 않았다는 설명이다.

7월 국산 소고기는 4.9%, 돼지고기는 2.6%, 소고기 외식은 1.6%, 돼지갈비 외식은 2.3% 올랐다. 6월(국산 소고기 3.3%, 돼지고기 4.4%, 소고기 외식 1.2%, 돼지고기 외식 1.8%)과 비교하면 일부 외식 가격이 올랐다.

박병선 과장은 “소비쿠폰이 풀리면서 기대심리가 있을 수 있지만 얼마만큼인지는 파악이 어렵다”며 “소비쿠폰 지급 시기 7월 하순경이라 영향을 주더라도 미미하게 줬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최근 내수가 회복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회복세가 강하지는 않다. 추경이 올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며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시 한우에 소비가 몰려서 올랐던 경우가 있어 7월21일 소비쿠폰 지급 이후 한우 공급 물량을 30% 이상 늘려서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혜영 과장은 “소비쿠폰 1차 집행 상황을 모니터링 중이고, 결과 분석을 해본 다음 2차 소비쿠폰이 풀릴 즈음에 선제적으로 변동 요인에 대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7월 가격 변동폭이 큰 에너지나 식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2%대를 나타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한국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3% 올랐다.

가계의 구입 빈도가 높은 14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하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 식품 가격은 3.2% 상승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식품 이외 품목은 2.0%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5% 떨어졌다. 신선어개는 7.6% 상승했지만 신선채소(-1.5%)와 신선과실(-3.9%)는 하락했다.

기획재정부는 가공식품(4.6→4.1%), 축산물(4.3→3.5%), 수산물(7.4→7.3%) 상승폭이 6월에 비해 둔화됐지만 농산물 하락폭(-1.8→-0.1%)은 축소됐고, 석유류 가격은 내리면서 7월 소비자물가가 2% 초반대 상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분석했다.

기재부는 “향후 기상여건, 지정학적 요인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며 “특히 농축수산물·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변동 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lighton@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 https://cafe.naver.com/1djr152

  • 폰테크
  • https://cmaxfanatics.com
  • 폰테크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