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경남도, 정부에 의령 등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건의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바로보기 폰테크

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24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산청 등 집중호우 피해 상황 및 수습·복구 대책 브리핑에서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 등 네 가지 사항을 정부에 공식 건의했다고 밝혔다.

건의한 네 가지는 ▲유역 면적이 넓고 극한기후에 취약한 양천과 덕천강의 국가하천 승격 ▲덕천강·호계천 등 지방하천의 퇴적물 준설을 위한 국비 지원 ▲주택 피해 복구비, 지난 3월 산불 수준으로 상향 조정 ▲진주·하동·의령·함안 등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이다.

박 부지사는 “이미 산청군과 합천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고, 추가 지정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서도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면서 “도민이 하루빨리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박 부지사는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산청에서만 13명 사망, 1명 실종 등 14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공공시설 피해는 총 1176건으로 산사태 410건, 도로 297건, 하천 129건 등이 포함됐다.

사유시설 피해는 주택 전파·반파·침수 948동, 농경지 4379㏊, 가축 약 28만 마리로 집계됐으며,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피해조사는 공공시설의 경우 27일까지, 사유시설은 30일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할 예정이며, 경남도는 1건의 피해도 누락되지 않도록 정밀 조사에 나서고 있다.

응급복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경남도는 현재까지 전체 공공시설 피해 1176건 중 약 49%인 581건에 대해 응급복구를 완료했다.

복구에는 1만3945명의 인력과 굴삭기·덤프·살수차 등 장비 2354대가 동원됐다. 특히 전기, 통신, 상하수도 등 주요 기반시설 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이재민 지원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남도는 현재 주택 붕괴 등으로 귀가하지 못한 710명에게 임시 주거시설과 식사, 구호물품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심리 상담과 의료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장기 임시거주가 필요한 이재민들에게는 산청군 시천면 선비문화연구원, 합천군 삼가면 쉐어하우스 등 공공시설 및 민간 숙박시설도 활용해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특히 산사태로 마을 전체가 붕괴된 산청군 상능마을 주민 13가구 16명에 대해서는 이주단지 및 주택 조성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