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테크 당일폰테크 폰테크당일 비대면폰테크 폰테크통신 전문 24시 https://cmaxfanatics.com/ [무안=뉴시스] 구용희 기자 = 전남지역 홍수 취약계층과 취약시설, 하천 합류 지점에 대한 맞춤형 방어대책을 마련하고 예·경보 체계를 확대해 홍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남연구원은 2020년 8월과 올해 7월 전남에 발생한 극한 호우 등 최근 폭우 피해 현황과 홍수 위험지역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홍수 방어 대책 등을 담은 ‘전남의 홍수 위험 특성 분석 및 정책 방향’을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올해 1월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3년 재해연보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3년) 전남의 자연재해 피해액은 총 4281억원으로 이 중 77%가 호우로 인한 피해였다. 2020년 단일 연도 피해액만 2504억원에 달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피해액이 전체의 96%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 7월 100~200년 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량을 기록한 나주(418㎜)·담양(381㎜)·함평(348㎜) 지역의 극한 호우는 주택·상가·농작물 등에 막대한 피해를 불러왔다.
연구원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전남의 잠재적 홍수 위험지역은 961㎢로, 전남 인구의 7.6%인 13만6000명이 직·간접적으로 홍수 위험에 노출돼 있다.
홍수 위험 건축물 중 4%는 지하건축물이다. 홍수 위험 지하도로는 2.2㎞에 달해 인명 피해 방지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순천·여수·구례 등 일부 지역은 홍수 위험지역 내 고령인구 비율이 33~35%로 재난 취약계층의 대피와 대응이 우려된다.
목포·여수·순천 등 도심 지역은 노후건축물과 지하건축물이 밀집해 구조적 위험과 함께 인명 피해의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전남 홍수 위험지역의 사전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3대 핵심 대응 방향으로 취약계층·취약시설에 대한 홍수 방어 인프라 강화 및 예·경보 체계 확대 구축, 국가·지방하천 주요 구간의 설계기준 강화 및 해안 침수 방어대책 수립, 전남 고유 데이터 기반의 지역 맞춤형 홍수 리스크 평가 및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등을 제시했다.
침수 때 대규모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홍수 위험 지하도로에 수위 감지 센서, 폐쇄회로(CC)TV 등을 설치·연계한 스마트 자동 침수 차단 및 통제 시스템의 도입도 주문했다.
유인상 전남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홍수 피해에 대응해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전방위적 인프라와 과학적 관리 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부연구위원은 “도민 안전을 위한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재난관리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를 구축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persevere9@newsis.com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폰테크 #비대면폰테크 #폰테크당일 #당일폰테크 https://cmaxfanatics.com/